아르테미스 2호 탑재위성, 삼성전자·SK하이닉스 기술 적용된다

  • 글번호858
  • 작성자관리자
  • 작성일2025년 05월 12일 11시 12분
  • 조회수67

아르테미스 2호 탑재위성, 삼성전자·SK하이닉스 기술 적용된다



  • 박설민 기자 
  •  
  •  입력 2025.05.09 14:40




천문硏, 삼성전자·SK하이닉스와 ‘아르테미스 2호 큐브위성 부탑재체 개발’ MOU체결


 미국 항공 우주국(NASA)의 ‘아르테미스 프로젝트’의 두 번째 임무 ‘아르테미스 2호(Artemis II)’에 탑재될 큐브위성에 한국천문연구원, 삼성전자, SK하이닉스, 나라스페이스 등 국내 연구기관과 기업의 기술이 대거 적용될 예정이다./ NASA
미국 항공 우주국(NASA)의 ‘아르테미스 프로젝트’의 두 번째 임무 ‘아르테미스 2호(Artemis II)’에 탑재될 큐브위성에 한국천문연구원, 삼성전자, SK하이닉스, 나라스페이스 등 국내 연구기관과 기업의 기술이 대거 적용될 예정이다./ NASA

시사위크=박설민 기자  미국 항공 우주국(NASA)의 ‘아르테미스 프로젝트’의 두 번째 임무 ‘아르테미스 2호(Artemis II)’에 탑재될 위성에 우리 기업과 연구기관의 기술이 대거 적용된다. 인간이 21세기 다시 한 번 달로 가는 첫 유인 시험 비행인 만큼, 이번 프로젝트에 한국 기업과 연구기관이 참여하는 것은 상징성과 기술력 모두 인정받았다는 것을 의미한다.

한국천문연구원(천문연)은 9일 삼성전자, SK하이닉스와 아르테미스 2호 탑재 큐브위성 부탑재체 개발 협력을 위한 업무협약(MOU)을 체결했다고 밝혔다. 우리 기술이 적용될 위성은 ‘우주방사선 측정용 큐브위성(K-RadCube)’이다. 협약식은 지난 7일 체결됐다.

이번 협약은 지난 2일 우주항공청이 발표한 NASA와의 ‘아르테미스 2호 내 큐브위성 K-RadCube 협력을 위한 이행약정(Implementing Arrangement)’의 후속이다. 본 협약은 아르테미스 2호 미션에 활용될 K-RadCube의 부탑재체 개발을 위한 공동 연구, 기술 개발 및 공동장비 활용 등 상호 협력을 목적으로 한다. 

K-RadCube는 저궤도보다 멀리 분포해 있는 지구 주변 방사선 영역인 반앨런대의 우주방사선을 측정한다. 방사선이 우주인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는 큐브위성으로, 천문연이 주탑재체 개발 등 임무 개발을 총괄하고 있다.

아르테미스 2호에 탑재될 우주방사선 측정용 큐브위성(K-RadCube)./ 나라스페이스
아르테미스 2호에 탑재될 우주방사선 측정용 큐브위성(K-RadCube)./ 나라스페이스

협약을 통해 천문연은 △과학 목표 설정 △큐브위성 본체 설계 요구조건 및 설계안 도출 △개발 및 운영 일정 수립 △국제협력을 통한 발사체 및 통신 계획 수립을 담당한다.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는 △반도체 소자 실험 모듈 설계 및 제작 △반도체 소자 실험 운영 시나리오 수립 등의 역할을 할 예정이다.

이번에 업무협약을 체결한 삼성전자는 자체 개발 중인 차세대 반도체로 실제 우주 고궤도의 고에너지 방사선 환경에서 동작 여부를 검증할 계획이다. SK하이닉스는 우주방사선 기인 피폭에 대하여 항공운송을 포함한 지상의 모든 고객 대상 환경의 품질을 고려한 메모리 반도체를 제공한다.

또 다른 참여 기업인 나라스페이스는 위성체의 설계, 제작, 검증, 발사장까지의 이송을 담당한다. KT SAT은 안테나 및 송수신 장비 등 지상국 인프라를 구축하고, 위성 운영을 맡을 예정이다. 

박장현 천문연 원장은 “유인 우주탐사 프로그램인 아르테미스 2호 미션에서 K-RadCube 핵심기술은 우주방사선에 대한 우주인의 안전 문제와 직결돼 있다”며 “K-RadCube와 부탑재체의 기술개발은 국내 우주기술 경쟁력 확보와 우주방사선 피폭 연구에 도전이 될 것”이라고 기대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