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부산=뉴스1) 윤일지 기자 = 부산대학교는 우주환경 모사를 위한 대형 진공시험시설을 최근 성공적으로 교내에 구축해 향후 우주개발 분야 연구에 활력을 불어넣을 것으로 기대된다고 8일 밝혔다.
우주환경 모사용 대형 진공시험시설은 부산대 항공우주공학과 우주추진 플라스마 실험실 주관으로 교내 제8공학관 8104호에 설치 완료된 후 현장수락시험(Site Acceptance Test)에서도 요구 성능을 충족해 본격적인 연구 및 시험 운영을 위한 기반을 확보했다.
시설 초기 구축에는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신진연구자인프라구축사업에서 약 3억 원이 투입됐다.
이번에 설치된 대형 진공시험시설인 'SPACE-1'은 국내 최대 규모인 직경 약 1.7m, 길이 약 3.5m로, 약 5kW급 이상의 전기추력기 성능 및 수명 시험평가와 위성, 우주반도체, 우주소재 등 우주용 부품의 진공시험이 가능하도록 설계됐다.
챔버(chamber) 내부는 우주 환경을 모사할 수 있도록 기저 압력 약 10-7Torr 이하의 고진공 상태를 유지할 수 있으며 홀 추력기, 이온 추력기, 펄스플라즈마 추력기 등의 다양한 우주추력기와 반도체소자 및 소재 등 여러 우주용 장비들의 진공 환경에서의 성능평가가 가능하다.
또 시험 중 발생하는 플라스마 특성을 측정하고 분석할 수 있는 광학 센서 및 탐침 장치도 함께 구축돼 있어 정밀한 성능검증을 수행할 수 있다. 추후 더 높은 진공도 조건을 갖추기 위해 고진공 펌프와 흑연판을 내부에 설치할 예정이다.
부산대는 향후 해당 진공시험시설을 기반으로 위성 추진 시스템 개발 관련 다수의 정부 지원 과제를 수행할 예정이며, 국내외 연구기관 및 기업들과의 협업도 적극 확대해 나갈 계획이다.
김호락 항공우주공학과 교수는 "이번에 구축된 대형 진공시험시설은 단순한 시험 설비를 넘어 국내 전기추진 기술 자립을 위한 핵심 기반이 될 것"이라며 "앞으로 이 장비를 활용해 소형 위성의 추진 모듈부터, 심우주 탐사 등을 고려한 차세대 추진 시스템까지 단계적으로 연구를 확장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yoonphoto@news1.kr